피어세션
pretrained arg 없는거는 불러와서 dict에 저장해서 가져오는 방식으로 쓰더라.
샬레 augmentation
모델마다 epoch, batch_size는 다르니까 마지막에 쓰일 모델에 맞춰서 해야될것.
v2, v3 차이 ASPP(Atrous Spatial Pyramid Pooling)랑 batchnorm. 논문 보니까 저럼.
특정 쓰레기 종류마다 대략적인 모양이 있으니 argument할 때 조심해야 할듯.
목표
코드 모듈화 하기, label 늘리는거 찾아보기, 점프 투 장고
행동
모듈화 테스트해서 submission csv 파일 만드는것 까지 지금 막 만들었음. 내일 data augmentation 하면 될듯. 보니까 mask까지 같이 불러와서 둘 다 같이 transform 하는것 같다.
label 찾는거 더 오래 걸릴듯.
회고
코딩 보고 모듈화 하는데도 정말 시간이 오래걸렸다.. 원래 이런건가 싶다.
'과거의 것들 > AI Tech boostcam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-stage3 [Day5] (0) | 2021.12.01 |
---|---|
P-stage3 [Day4] (0) | 2021.12.01 |
P-stage3 [Day2] (0) | 2021.12.01 |
P-stage3 [Day1] 역사, metric 등 (0) | 2021.11.30 |
P-stage2 마지막 정리 (0) | 2021.1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