준비 섹션을 따로 만들어놨는데 앞으로 진행할 섹션들에 대해 설명한다.
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여기 안에서 해결된다.
API 개발 고급 - 조회용 샘플 데이터 입력
API 개발 고급 - 지연 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
API 개발 고급 - 컬렉션 조회 최적화
API 개발 고급 - 페이징과 한계 돌파
API 개발 고급 - OSIV와 성능 최적화
조회용 샘플 데이터 입력은 보통 수정, 삭제 같은 경우는 잘 안하고 한 줄만 하는거라 에러가 거의 안나고 대부분 조회를 하니 조회 쪽에서 문제가 알이남. 그래서 어떻게 할건지
지연 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는 lazy 사용하고 뭐 하는듯
컬렉션 조회 최적화는 이제 일대다 컬렉션을 불러올 때 복사되서 뻥튀기 되는 문제들 어떻게 대처할지
페이징과 한계 돌파도 위와 비슷하다.
OSIV는 이걸 키면 지연 로딩이 자동으로 되는데 키면 어떻고 껐을 땐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듯.
준비세션이라 데이터들 준비하기
/**
* 총 주문 2개
* * userA
* * JPA1 BOOK
* * JPA2 BOOK
* * userB
* * SPRING1 BOOK
* * SPRING2 BOOK
*/
@Component
@RequiredArgsConstructor
public class InitDb {
private final InitService initService;
@PostConstruct
public void init() {
initService.dbInit1();
initService.dbInit2();
}
@Component
@Transactional
@RequiredArgsConstructor
static class InitService {
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;
public void dbInit1() {
Member member = createMember("userA", "서울", "1", "1111");
em.persist(member);
Book book1 = createBook("JPA1 BOOK", 10000, 100);
em.persist(book1);
Book book2 = createBook("JPA2 BOOK", 20000, 100);
em.persist(book2);
OrderItem orderItem1 = OrderItem.createOrderItem(book1, 10000, 1);
OrderItem orderItem2 = OrderItem.createOrderItem(book2, 20000, 2);
Order order = Order.createOrder(member, createDelivery(member),
orderItem1, orderItem2);
em.persist(order);
}
public void dbInit2() {
Member member = createMember("userB", "진주", "2", "2222");
em.persist(member);
Book book1 = createBook("SPRING1 BOOK", 20000, 200);
em.persist(book1);
Book book2 = createBook("SPRING2 BOOK", 40000, 300);
em.persist(book2);
Delivery delivery = createDelivery(member);
OrderItem orderItem1 = OrderItem.createOrderItem(book1, 20000, 3);
OrderItem orderItem2 = OrderItem.createOrderItem(book2, 40000, 4);
Order order = Order.createOrder(member, delivery, orderItem1,
orderItem2);
em.persist(order);
}
private Member createMember(String name, String city, String street,
String zipcode) {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name);
member.setAddress(new Address(city, street, zipcode));
return member;
}
private Book createBook(String name, int price, int stockQuantity) {
Book book = new Book();
book.setName(name);
book.setPrice(price);
book.setStockQuantity(stockQuantity);
return book;
}
private Delivery createDelivery(Member member) {
Delivery delivery = new Delivery();
delivery.setAddress(member.getAddress());
return delivery;
}
}
}
'CS > 김영한 스프링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-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- 섹션4. API 개발 고급 - 컬렉션 조회 최적화 (1) | 2023.10.07 |
---|---|
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-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- 섹션3. API 개발 고급 - 지연 로딩과 조회 성능 최적화 (1) | 2023.10.07 |
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-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- 섹션1. API 개발 기본 (0) | 2023.10.05 |
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- 섹션 11. 객객체지향 쿼리 언어2 - 중급 문법 (JPQL) (0) | 2023.10.04 |
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- 섹션 10. 객체지향 쿼리 언어1 - 기본 문법 (JPQL) (0) | 2023.09.24 |